개운한 수면시간 비밀 공개합니다(수면주기 계산기 활용법)




“ 10시간을 자도 피곤한 이유, 바로 이것”

개운한 수면시간 계산기 1




개운한 수면시간은 몇 시간이 적당한지 알고 계신가요? 길게 자는 것과 짧게 자는 것의 관계보다 어떤 잠을 자느냐가 중요하다고 합니다. 개운하게 일어나는 방법과 자신만의 수면패턴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잠을 잔다고 다 똑 같은 잠이 아니다



누구는 새벽에 잠들어 아침 일찍 일어나도 개운하게 푹 잤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고, 하루종일 잠만 자도 피로감이 지속되는 사람이 있습니다.

이유는 간단 합니다. 이 두가지의 경우 수면시간만 다를 뿐 같은 잠을 잤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꿈을 자주 꾸는 사람이 있고, 눈을 감았다 떳을 뿐인데 아침이라는 사람이 있죠.

꿈을 꾼다는 것은 우리가 잠 속으로 깊이 들어가지 못한 얕은 잠을 자고 있는 상태 입니다.
이 상태를 렘수면(REM) 상태라고도 하는데요. 보통 이 렘수면 단계에서는 누가 깨우면 쉽게 깨는 상태이며 잠을 자는 동안 렘수면 상태에서 깊은잠 상태를 2~3차례 왔다갔다 하게 됩니다.


왜 8시간은 자야 한다는 말이 있는 것 일까?

먼저 8시간 법칙은 정답이 아니라고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사람은 각자 자신에게 최고의 컨디션을 만들어주는 수면 시간이 분명히 있습니다.



8시간이란 것은 어디서 나온 이야기 일까?



우리가 잠들기 시작 후 약 2시간 후 렘수면 상태로 진입해서 점차 깊은잠으로 다시 얕은 렘수면 상태로를 반복하게 됩니다. 그 주기가 약 2회 정도 되며, 잠이든지 4시간이 지나가게 되면 점차 얕은 잠 수준의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잠의 단계를 4단계로 나눈다고 하면 초기 4~5시간은 1단계에서 4단계를 왔다갔다하고 5시간 이후로는 4단계를 생략한 후 서서히 1~2단계에만 머무르다 우리가 깨어나게 되는 것이죠.

사람은 얕은 잠인 렘수면 단계에서 깨어날 때 개운함을 느낀다고 합니다.
이미 깊은잠의 사이클을 2회 정도 겪고 피로를 푼 상태이기 때문에 얕은 잠에서 깰 때 충분히 잠을 잤다는 느낌을 받는 것이죠.

4~5시간의 수면시간을 갖는 사람의 경우 4단계 즉 깊은잠 단계에 이르렀을 때 기상할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깊은잠 단계에서의 기상은 각성 상태로 돌아오기까지 매우 힘들며 잠을 잔 것 같지 않은 피로감이 밀려오게 됩니다.

멍 한 상태인 것이죠. 그 상태로 피로회복이 되지 않은 상태로 일상생활을 지속하게 되니 만성피로가 올 수 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8시간이란 수면시간을 권장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수면패턴
출처 catalystathletics.com




개운한 수면시간 비밀 공개



8시간 수면방법은 일단 잊어버리기로 해요. 나만의 패턴을 한번 찾아보는 것이 조금이나마 정확한 수면패턴을 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최근 스마트 워치를 이용한 심박수, 산소 포화도, 코골이 등을 체크 할 수 있으며 렘수면과 깊은잠의 시간도 체크가 됩니다.

핸드폰 APP 중에도 수면관리 APP이 많으니 매일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 나의 수면 패턴을 확인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5시간을 자더라도 깊은잠 상태를 지나 렘수면 상태에서 깨는 패턴을 찾는 것이죠.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에는 수면주기 계산기라는 것이 있습니다.
웹사이트를 통해 아침 기상시간 또는 잠을 자기 위해 침대에 눕는 시간을 지정하면

내가 언제 자는 것이 최적인지, 언제 일어나는 것이 최적인지 계산을 통해 알려주게 됩니다. 물론 이것은 참고용으로 이대로 한번 시행 해보시고 도움이 된다면 그대로 수면패턴을 만들어 보세요.


개운한 수면 계산기
개운한 수면 계산기




개운한 수면시간 도움이 되는 행동 BEST 10


  • 1. 수면 후 일어나는 시간을 규칙적으로 정해 놓고 생활 한다.
  • 2. 하루 중 가능하면 너무 늦지 않은 시간에 규칙적인 운동
  • 3. 침대는 무조건 잠을 자는 장소라는 인식을 갖고 전화나 책읽기 등은 지정장소에서 한다.
  • 4. 최대한 잠자는 장소는 조용하고 어둡고 환경을 만들어 준다.
  • 5. 잠자기 바로 전에는 음식을 되도록 먹지 않으며, 전자제품 사용도 삼가한다.
  • 6. 수면 전에 카페인 섭취 및 음주는 되도록 자제 하는 것이 좋다.
  • 7. 잠들기 전 따뜻한 샤워는 숙면에 도움을 줍니다.
  • 8. 잠자기 전 자극적인 활동을 자제 합니다. 가벼운 마사지나 근육을 풀어주는 행위는 좋습니다.
  • 9. 명상은 하루의 생각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이어서 자기 전 명상이 좋다고 합니다.
  • 10. 자려고 누웠으나 다른 생각이 많이 들고 잠이 오지 않을 경우에는 (보통 15분 내에 잠이 온다고 합니다.) 우리 몸이 잠자는 패턴이 익숙해지지 않았기 때문이므로 잠시 일어나 가볍게 책을 읽거나 따뜻한 물을 한잔 하고 다시 잠을 청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개운한 수면시간을 찾는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결국 개운함을 느끼기 위해서는 내가 스스로 수면과 기상을 TEST 해보면서 최적의 시간을 찾는 것이며, 내가 내 몸을 알게 되면 피곤함도 컨트롤 하게 되지 않을까요? 잠이 보약이라는 말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니겠죠^^ 모두에게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